[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10:53
본문
Download :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hwp
Download :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hwp( 54 )
1.3 지반의 effect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표(1.2) 지반계수,S
설명
1. 내진 설계의 일반 사항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 - 대학 레포트 제출자료
교량의 내진등급은 표(1.1)과 같이 분류되는 데, 미국과 같이 지진이 빈번히 발생되는 국가는 교량의 내진등급 분류에 있어서 각 지역의 가속도 계수 및 교량의 중요도를 고려하여 4가지 등급으로 나누고 있으나 , 한국은 지진의 발생확률이 낮고 가속도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을 감안하여 내진등급을 가속도 계수의 크기만을 고려하여 2등급으로 나누고 있다.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 - 대학 리포트 제출자료(data)
지반종류ⅠⅡⅢ지반계수(S)1.01.21.5
한국의 교량 내진 설계에 사용하는 가속도 계수는 지진위험도 분석을 바타으로 하여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1.1 가속도 계수
1.2 교량의 내진등급 분류
지반의 상태가 교량의 응답에 미치는 effect은 표(1.2)에 규정한 지반계수로 평가한다.
토질의 제반 상수를 알 수 없거나 지반의 형태가 위의 3가지 종류에 맞지 않을 때는 지반종류Ⅱ 의 지반 계수를 취한다.
순서
표1.2에서 지반종류는 다음 3가지의 기준에 의해 분류한다.
。지반의 종류Ⅲ: 연약 도는 중간 정도의 점토 또는 느슨한 모래질의 지층이 9m를 초과하 는 지반
표(1.1) 교량의 내진등급
。지반의 종류Ⅱ: 지반의 깊이가 60m를 초과하는 단단한 모래자갈 또는 견고한 점토질의 안정성 있는 견고한 지반
등급구분가속도 계수내진 1등급교A>0.07내진 2등급교A≤0.07
。지반의 종류Ⅰ: 혈암이나 자연상태에서 결정체를 갖는 암반 또는 지반의 깊이가 60m 이 하인 단단한 모래자갈 또는 견고한 점토질의 안정성있는 지반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
교량의 내진 설계
지역가속도 계수(A)강원도, 전라남도,제주도0.07기타지역0.14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9347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A%B5%90%EB%9F%89%EC%9D%98%20%EB%82%B4%EC%A7%84%20%EC%84%A4%EA%B3%84-9347_01.gif)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9347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A%B5%90%EB%9F%89%EC%9D%98%20%EB%82%B4%EC%A7%84%20%EC%84%A4%EA%B3%84-9347_02_.gif)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9347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A%B5%90%EB%9F%89%EC%9D%98%20%EB%82%B4%EC%A7%84%20%EC%84%A4%EA%B3%84-9347_03_.gif)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9347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A%B5%90%EB%9F%89%EC%9D%98%20%EB%82%B4%EC%A7%84%20%EC%84%A4%EA%B3%84-9347_04_.gif)
![[건축학] 교량의 내진 설계-9347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A%B1%B4%EC%B6%95%ED%95%99%5D%20%EA%B5%90%EB%9F%89%EC%9D%98%20%EB%82%B4%EC%A7%84%20%EC%84%A4%EA%B3%84-9347_05_.gif)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