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권-지상권과 부동산 임차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1 09:20
본문
Download : 물권-지상권과 부동산 임차권.hwp
또한 설정계약 이외에 유언과 지상권의 양도에 의하여 지상권이 승계취득 된다 어느 것이나 모두 법률행위로 인한 부동산 물권의 변동이므로 등기하여야 효력이 발생한다.물권-지상권과부동산임차권 , 물권-지상권과 부동산 임차권경영경제레포트 ,
순서
Ⅰ.序 ---------------------------------p. 1
Ⅱ.지상권 ----------------------------------p. 1
1.지상권의 의의와 성질 ----------------------------------p. 1
2.사용권과 물권 ----------------------------------p. 1
3.지상권의 취득 ----------------------------------p. 2
4.지상권의 존속기간 ---------------------------------pp. 2~3
5.지상권의 효력 ----------------------------------p. 3
6.지상권의 처분 ----------------------------------p. 3
7.지료지급의무 ----------------------------------p. 3
8.지상권의 소멸과 그 결과 ---------------------------------p. 4
9.구분지상권과 관습법상의 법정지상권 -------------------------pp. 4~5
Ⅲ.부동산임대차 ----------------------------------p. 5
1.임대차의 목적물 ----------------------------------p. 5
(1)권리도 임대차의 목적물이 되는가?
(2)리스계약의 등장
2.계속적 계약관계 ----------------------------------p. 5
3.부동산 임대인의 보호 ----------------------------------p. 5
(1)보호必要性 --------------------------------pp. 5~6
(2)특별법에 의한 보호 -----------------------------------p. 6
1)현행 민법의 문제가되는점 과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제정
2)농지법의 제정
3)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4.부동산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구성 ---------------------pp. 6~7
(1)문제가되는점
(2)임차권의 대항력
(3)임차권의 존속기간에 대한 보장
Ⅳ.지상권과 임차권의 비교 ------------------------------pp. 7~9
1.권리의 성질
2.대항력
3.양도성
4.존속기간
5.대가관계
6.토지소유자의 의무
7.투하자본의 철회
Ⅴ.結 ---------------------------------p. 9 bibliography ---------------------------------p. 10
3.지상권의 취득
지상권의 취득에는 법률행위에 의한 취득과 법률행위에 의하지 않는 취득이 있따 먼저 지상권은 토지소유자(지상권설정자)와 지상권자의 설정계약, 즉 지상권의 설정을 목적으로 하는 물권적 합의와 등기에 의하여 취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물권-지상권과 부동산 임차권에 대한 글입니다. 그런데 경우에 따라서는 토지소유자와의 협의를 거쳐 미리 토지 이용관계를 설정할 수 없는 부득이한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 잠재적인 토지이용권을 법률상 현실화하여 줌으로써, 건물을 독립한 부동산으로 하는 우리 법제…(skip)
,경영경제,레포트






다. 토지이용관계가 설정되지 않으면, 건물소유자는 아무 권리도 없이 타인의 토지를 사용하는 것이 되므로 적법하지 않다.
설명
Download : 물권-지상권과 부동산 임차권.hwp( 16 )
물권-지상권과 부동산 임차권
레포트/경영경제
물권-지상권과부동산임차권
물권-지상권과 부동산 임차권에 대한 글입니다.
그러나 법률행위에 의하지 않는 취득에는 취득시효로 인한 지상권의 취득으로 등기함으로써 효력이 생기지만, 그 밖의 Cause 으로 인한 취득은 등기 없이 그 효력이 생기는 상속ㆍ판결ㆍ경매ㆍ취득시효가 있따
또한 법정지상권에 의한 취득은 우리법제에 있어서는 토지와 건물이 각각 별개의 독립한 부동산으로 취급되고 있으므로 토지와 건물의 소유자가 다를 수 있따 그러나 건물은 그 성질상 토지에 대한 이용을 필요로 하므로 이 경우 토지소유자와의 협의를 거쳐 그 토지이용관계를 설정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