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 및 정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2 08:03
본문
Download : 여성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 및.hwp
Download : 여성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 및.hwp( 96 )
※ 여성근로자중 비정규직 비중 : 35.3%(188만명 ’01.8) → 39.5%(232만명, ’03.8) → 43.7%(275만명, ’05.8)





- 빈곤층 중 여성노인 및 여성가구주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빈곤의 여성화”가 진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1만불 → 2만불 시기: 197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의 약 10년간
ㅇ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여성근로자의 빈곤을 더욱 가속화
- 세계화와 동시에 지방분권화도 진전됨에 따라 각 지역의 여성들이 주도적으로 사회 각 분야에 참여할 가능성이 높아짐
순서
○ 세계화의 진전에 발맞추어 여성정책의 추진 또한 국제사회가 제시하는 여성의제나 여성권한지수와 같은 기준을 고려해야 함.
국민소득 2만불 시대,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 ‘여성’ ㅇ 1만불에서 2만불로 가는 시기*에 주요선진국들의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은 약 9%p이상씩 급속하게 증가 - 반면, 우리의 경우 1만불 달성 이후 10년간 여성경활율 1.1%p 증가 ※ ‘94-’03년도 기간중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90만명 증가 ※ 1만불 → 2만불 시기: 1970년대 후반~1980년대 후반의 약 10년간 ․노르웨이: 56.7% → 70.7%, 스웨덴: 69.1% → 80.1%, 미국: 53.7% → 63%
- 반면, 우리의 경우 1만불 달성 이후 10년간 여성경활율 1.1%p 증가
- 여성중심으로 비정규직이 확산됨과 동시에 여성 집중 직종의 비정규직화 현상 발생
* 주요요인이 고위 관리직의 여성 비율이 낮기 때문임.
- 우리나라의 여성권한척도(GEM)가 75개국 가운데 53위
※ 60세 이상 노인의 평균(average)소득 : 여성 29만9천원, 남성 78만 3천원
※ 빈곤층에 속하는 가구비율 : 여성가구주 중 43.7% 남성가구주 중 13.6%
ㅇ 1만불에서 2만불로 가는 시기*에 주요선진국들의 여성경제활동참가율은 약 9%p이상씩 급속하게 증가
ㅇ 반면, 근로빈곤층 중 여성의 일자리에 대한 욕구가 남성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상황
※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여성가구주 비율 : 45.4%(‘91) → 55.5%(‘02)
여성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 및 정비
□ 양극화 현상의 심화로 여성빈곤대응strategy이 필요
1. 세계화와 지방화의 진전
여성생활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 및 정비,여성생활
국민소득 2만불 시대, 경제성장의 새로운 동력 ‘여성’
설명
ㅇ 여성빈곤층 증가로 양극화 현상의 심화
※ 여성비정규직은 275만명으로 전체 비정규직중 50.1%(‘05)
※ ‘94-’03년도 기간중 여성 비경제활동인구 90만명 증가
․노르웨이: 56.7% → 70.7%, 스웨덴: 69.1% → 80.1%, 미국: 53.7% → 63%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