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베리사인, 루트 DNS서버 한국에 설치 추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11:08본문
Download : 2003022.jpg
<표> 세계 주요 도메인네임서버 설치 present condition
다.
특히 지난 1·25 인터넷(Internet)대란 때와 같이 특정ISP가 가입자를 위해 운영하는 로컬 DNS서버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바로 루트 DNS서버로 질의가 가능하다.
美 베리사인, 루트 DNS서버 한국에 설치 추진
美 베리사인, 루트 DNS서버 한국에 설치 추진
설명
루트 및 컴/넷 DNS서버는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하거나 원격에서 네트워크에 접속할 때 반드시 거쳐야 하는 곳으로 사용자가 찾는 인터넷(Internet)서버의 주소정보를 담고 있어 전세계 인터넷(Internet) 이용의 근간이 된다된다.
Download : 2003022.jpg( 35 )
KR 한국인터넷(Internet)정보센터(1개), KT(1개), 데이콤(2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고속연구망(1개), KTH(1개)
레포트 > 기타
루트 베리사인, ISI, PSInet, 메릴랜드대학, NASA, ISC, DISA, ARL, IANA(이상 미국), NORDUnet(스웨덴), RIPE(영국), WIDE(Japan)
케이알 DNS서버는 kr 도메인을 사용하는 국내 사이트의 주소가 담겨 있으며 1차 DNS서버를 한국인터넷(Internet)정보센터(1개)에서, 2차 DNS서버를 KT(1개)·데이콤(2개)·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초고속연구망(1개)·KTH(1개)에서 각각 운영중이다.
美 베리사인, 루트 DNS서버 한국에 설치 추진
컴/넷 DNS서버는 kornet.net, daum.net, etimesi.com 등과 같은 일반기업체와 사용자 도메인 주소를 담고 있으며 미국의 베리사인이 미국(9개)·스웨덴(1개)·영국(1개)·Japan(1개)·中國(1개) 등 13개 지역에 분산 설치해 원격으로 운영한다. 그림참조
더 나아가 폭증하고 있는 아시아지역의 인터넷(Internet) 트래픽을 국내 루트 DNS서버에서 처리할 수 있어 국제적으로 우리나라의 IT위상도 높아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된다. 베리사인은 타 지역에 운영중인 컴/넷 DNS서버 중 한 대를 국내로 옮기는 방안도 고려중이다. kr 국가도메인보다는 com, net 등의 국제도메인을 사용하는 사이트에 접속할 때 속도상승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된다. 따라서 네트워크에 이상이 없는데도 인터넷(Internet) 이용이 일시에 중단되는 것과 같은 사태를 막을 수 있다. 국제인터넷(Internet)주소관리기구(ICANN)는 네임서버를 전세계 도메인 주소를 신속정확하게 찾을 수 있도록 계층별로 구성하도록 하고 있다. DNS서버는 기술적으로 13대까지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수를 늘리려면 복사본 형태로 구성해야 한다는 것이 인터넷(Internet)정보센터측의 설명(說明)이다.
美 베리사인, 루트 DNS서버 한국에 설치 추진
루트 및 컴/넷 도메인네임시스템(DNS)서버가 국내에 설치되면 미국의 DNS서버를 거치지 않아도 돼 인터넷(Internet)주소를 질의한 후 응답받는 시간이 지금보다 50배 가량 빨라지게 된다된다. 컴/넷 베리사인-미국(9개)·스웨덴(1개)·영국(1개)·Japan(1개)·中國(1개)
<정소영기자 syjung@etnews.co.kr>
이번에 설치되는 DNS서버는 베리사인이 전적으로 운영을 책임지지만 KT 등 설치장소를 제공한 업체나 기관이 접근권한을 얻게 될 경우 로컬 DNS서버에 문제 발생시 루트 DNS서버로 바로 접속하도록 DNS서버 설정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은 인터넷(Internet)주소를 질의해 응답받는 속도가 250㎳ 정도였으나 5㎳로 대폭 줄어든다.
이번에 국내에 설치될 DNS서버는 베리사인이 운영중인 루트 DNS서버 중 한 대의 복사본(미러링서버)과 컴/넷 DNS서버 중 하나다. 새 government 가 기치로 내건 동북아허브의 실질적 기능을 하게 된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된다.





순서
루트 DNS서버는 kr, jp, cn 등과 같은 국가최상위도메인(ccTLD)과 com, net, org 등 일반최상위도메인(gTLD)의 관리기관에 대한 주소를 담고 있으며 미국(10개)·스웨덴(1개)·영국(1개)·Japan(1개) 4개국의 12개 기관이 A부터 M으로 명명된 13개를 운영한다.